발포 방열 공사 시방서

건축

발포 방열 공사 시방서

소소심심 2024. 8. 29. 22:24
반응형
발포 방열 공사
(POLY-URETHANE SPRAY)

 

1. 일반사항

1.1 공사목적

우레탄 SPRAY 공사는 냉동, 냉장, 저온창고의 특성을 고려하여 신소재인 방열재를 시공 설치하여 반영구적인 방열재와 획기적인 에너지 비용의 절감과 쥐 및 벌레의 서식이 불가하여 보관품의 안전성 유지, 건물보수의 용이성에 목적이 있다.

 

1.2 공사개요

가. 방열공사에 필요한 방습공사, 우레탄 SPRAY 발포공사, 메탈라스공사로 구분한다.

나. K.S.M 3809 규격 및 K.S.F 3211 시방에 준한다.

 

2. 방습 공사

2.1. 목적

건물의 외부로부터 침투되는 습기를 차단하며 우레탄 단열재의 부착 성능을 높이고 단열재의 방열 성능을 보호하는데 목적이 있다.

 

2.2. 공사범위

우레탄 스프레이 시공부위 면에는 필히 방습층을 설치함을 원칙으로 하나 건물의 특성상 제외되는 부분을 들 수 있다.

가. 천장 : 방습층을 별도로 두어야 함을 원칙으로 하나 천장 슬라브의 방수층이 있으므로 별도의 방습층은 현장 조건에 우선한다.

 

나. 외벽 : 특별한 방습층이 없고 습기에 민감한 부분이라 꼭 방습층을 두어야 한다.(단, 패널건물의 경우는 별도의 방습층을 설치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다. 간벽 : 냉장·냉동의 온도차가 없을 때는 습기 발생의 요인이 없으므로 별도의 방습층은 없어도 되며 온도차가 발생 시에는 습기 발생 우려가 있으므로 현장조건에 따른다.

 

라. 바닥 : 방열재 시공 전 방습층을 만들어 지하의 습기로부터 차단을 하고 보호 몰탈 시공 시 수분의 침투를 막아야 한다.

 

마. 기타 : 방습공사는 우레탄의 장점인 수명의 반영구성을 보호하는데 필요하며 건물의 설계조건에 따라 방습공사의 시공여부 부위를 정한다.

 

2.3. 시공조건

가. 방습재의 피착물의 온도가 -3℃ 이하이거나 50℃ 이상인 경우에는 가능한 시공을 피하는 것이 좋다.

 

나. 피착물에 부착된 이물질은 깨끗이 제거해야 한다.

 

다. 피착물에 균열이 있을 경우는 보수 후 시공한다.

 

2.4. 방습재의 재료

가. 수성 polyurethane 및 polyvinyl acetate ethylene 공중화합물로 유연성과 내수성 및 내열성이 양호하고 방습성과 접착성이 우수한 제품을 사용한다.

 

나. 유성방습재는 휘발성이 강하여 폭발 위험성이 있으므로 꼭 수성 제품을 사용한다.

 

3. 발포 방열공사

3.1. 일반사항

가. 본 시방은 냉동 냉장창고의 방열 공사에 적용한다.

나. 방열재의 재료는 반드시 냉 저온용 경질 우레탄 폼을 사용하여야 한다.

다. 방열 시공 방법도 현장 SPRAY로 하며 천장, 벽, 바닥 순서로 함을 원칙으로 한다.

라. 적용기준 : K. S. M3809에 근거한다.

마. 방열은 보관창고의 우지관리에 중요한 공종으로 방열업체선정은 반드시 발주처의 사전 승인절차를 거쳐야 한다.

 

3.2. 제조

가. 냉 저온 창고에 시공되는 냉 저온용 경질 우레탄 폼은 다음과 같이 제조되어야 한다.(이때 냉 저온용 POLYOL은 냉동창고의 특성에 따라 적절한 가공이 필요하다.)

 

나. 2차 가공된 POLYOL에 난연재 및 발포제, 정포제 등의 화합물을 첨가하여 3차 가공하여 물성 및 시공성 그리고 수명 등이 우수한 RESIN(B액)을 생산하여 사용한다.

 

다. 냉 저온용으로 제조된 액을 사용하여 급격한 온도의 변화에 따른 물성 변화나 갈라짐이나 뒤틀림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라. 냉동창고에 적합한 RESIN 제조업체는 유사한 경험 및 실적은 물론 숙련된 작업자를 보유하고 있어야 하며, 최소 5년 이상 원료에 대한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는 업체를 감독자의 승인에 따라 선정한다.

 

3.3. 시공 조건

가. 우레탄 폼 시공은 풍속 15-20M/SEC이하인 경우에 시공하는 것이 좋다.

나. 시공 당일 습도가 85% RH 이하인 경우 시공하는 것이 좋다.

다. 구조물 내 온도가 -3℃ 이하인 경우와 50℃ 이상인 경우에는 시공을 피하며 특수한 경우에는 감독관의 승인을 득 한 후 시공을 할 수 있다.

 

3.4. 준비 작업

가. 작업 부위의 부착된 이물질 유분 수분 등은 제거해야 한다.

 

나. 밀폐되어 있는 건물인 경우엔 공기의 순환을 위하여 통풍 장치를 한다.(시공 중 가스가 발생되어 배출을 목적)

 

다. 시공자는 현장 안전수칙을 숙지하여 안전보호구를 착용하며 비상 구급약을 상비한다.

 

라. 우레탄 작업 시 용접이나 화인이 될 수 있는 요인 등은 제거하며 금연을 원칙으로 한다.

 

마. 원액 드럼의 원액 이송은 자동 압송 기를 이용하도록 한다.

 

3.5. 시공 방법

가. 피 시공 체에 시공하기 전에 준비된 시험장소에 사전 시험 발포를 하여 우레탄 폼의 상태를 파악한다.

 

나. 시험발포에 이상이 없을 때 본 작업에 임하여 최초의 두께는 5m/m 이내에서 시공하도록 한다.

 

다. 1회 수프레이시두께의 범위로 도포 진행한다.

 

라. 시공하는 1일의 두께는 80m/m를 초과하지 않도록 한다.

 

마. 시공 시 핀 홀이나 동공이 생겨서는 안 되며 표면 상태는 SMOOT ORANGE PEEL COARSE ORANGE PEEL 이상의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바. 작업장에는 환풍기 및 소화기를 비치하여 만약의 사태에 대비토록 한다.

 

3.6. APPLICATOR QUALIFICATIONS

냉 저온은 우레탄 폼 방열 시공자는 아래 요건을 갖추어야 한다.

가. 냉 저온용 창고 우레탄 스프레이 발포 시공 경력이 최소한 5년 이상인 회사

 

나. 친환경자재 승인된 업체크로버마크 5개 이상 획득)

 

다. 냉동 저온창고의 실적을 보유한 회사

 

라. 전문건설업 면허보유업체(도장공사업 또는 설비공사업)

 

마. 공장등록업체

 

3.7 저장 및 관리

냉 저온용 우레탄계 원자재는 밀폐된 용기에 저장해야 하며 직사광선에 폭로시키지 말아야 하며 습기 등에 노출시켜선 안된다. 원자재는 제조 일로부터 6개월 이내에 사용하여야 한다. (일기 편차가 심하면 특별 관리 해야 한다.)

 

4. 와이어 메쉬 (#22 구갑망)

150m/m 이상의 벽면과 천장 방열층에 균열 방지용으로 설치한다.

가. 메쉬는 벽면 부위의 150m/m 이상의 경우에만 설치 시공한다.

 

나. 우레탄 폼칠 목표 두께의 2/3 지점에 설치한다.(10cm 이상겹침)

 

다. 메쉬로 전체가 수평이 지도록 팽팽하게 설치한다.

 

라. 설치 부위는 천장 하리 부분까지 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