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재하시험' 태그의 글 목록
반응형

동재하시험 3

파일관입량 자동측정시스템(PDAM)

파일관입량 자동측정시스템(PDAM)  Phc Pile공사를 수행하면서 가장 문제(?) 되는 것이 경타 후 리바운드 체크입니다. 안전상의 위험성도 존재하고, 사람이 수작업으로 진행하다 보니 정확한 측정이 어려운 현실입니다. 이에 따라, 리바운드체를 자동으로 할 수 있는 시스템을 여러 업체에서 개발 했으며, 그중 하나가 PDAM(Pile Driving Automatic Measurement) 시스템 입니다. 우리 기술(주)에서 개발한 파일관입량 자동측정 시스템으로 관입량 측정기를 이용하여 리바운트체크를 진행하는 방식입니다. 드롭해머 또는 파일캡에 바코드를 부착하고 관입량 측정기를 이용하여 관입량을 자동으로 측정하는 방법입니다. 이렇게 측정된 측정값은 자동으로 서버에 등록되어 실시간으로 관입량을 측정하고 NG..

건축 2025.03.24

기성콘크리트 말뚝 재하시험, 정재하시험

기성콘크리트말뚝(PHC PILE)의 재하시험은 시공된 말뚝의 허용 지지력을 결정하기 위해 시행되는 시험방법으로 크게 정재하시험과 동재하 시험으로 나뉘어진다. 동재하시험은 말뚝 시공직후 드롭해머로 말뚝 두부를 타격하여 측정된 응력값을 통해 지지력을 산정하는 반면, 정재하시험은 실재 하중을 재하하므로써 말뚝의 지지력을 산정하게 된다. 정재하시험의 시험방법에는 주변말뚝의 반력을 이용하는 방법, 주변의 앙카의 반력을 이용하는 방법, 실물 재하방법 등 여러가지 방법이 있다. 이 중 현장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방법은 주변말뚝의 반력을 이용하는 방법이다. 주변말뚝을 이용한 정재하시험은 설계하중의 2~2.5배를 말뚝에 가하여 하중과 침하량의 관계를 보고 지지력을 산정하는 방법으로 항복하중 또는 파괴강도를 초과하지 않는..

건축 2022.11.08

기성콘크리트말뚝 재하시험, 파일동재하시험(E.O.I.D)

고강도 콘크리트말뚝(PHC Pile)의 지지력 산정시험에는 여러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그 중 동재하시험은 정재하 시험의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개발된 방법입니다. 정재하시험의 경우 정확한 지지력을 산정할 수 있지만 시험의 소요기간이 길고 장시간의 시공중단과 재하를 위한 하중이 필요하기 때문에 비경제적인 단점이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말뚝의 단부에 두쌍의 변형계와 가속계를 설치하고 항타기를 통해 말뚝 두부를 가격했을때 측정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말뚝의 지지력을 산정하는 방법이 동재하시험입니다. 동재하시험은 초기항타(E.O.I.D)와 재항타(Restrike)의 2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초기항타(E.O.I.D)는 말뚝 시공직후 수행하는 시험으로 말뚝의 선단지지력을 측정함으로써 말뚝의 시공관리 기..

건축 2022.10.2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