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단지지력' 태그의 글 목록
반응형

선단지지력 3

파일관입량 자동측정시스템(PDAM)

파일관입량 자동측정시스템(PDAM)  Phc Pile공사를 수행하면서 가장 문제(?) 되는 것이 경타 후 리바운드 체크입니다. 안전상의 위험성도 존재하고, 사람이 수작업으로 진행하다 보니 정확한 측정이 어려운 현실입니다. 이에 따라, 리바운드체를 자동으로 할 수 있는 시스템을 여러 업체에서 개발 했으며, 그중 하나가 PDAM(Pile Driving Automatic Measurement) 시스템 입니다. 우리 기술(주)에서 개발한 파일관입량 자동측정 시스템으로 관입량 측정기를 이용하여 리바운트체크를 진행하는 방식입니다. 드롭해머 또는 파일캡에 바코드를 부착하고 관입량 측정기를 이용하여 관입량을 자동으로 측정하는 방법입니다. 이렇게 측정된 측정값은 자동으로 서버에 등록되어 실시간으로 관입량을 측정하고 NG..

건축 2025.03.24

RCD공법(현장타설콘크리트말뚝) 암판정 방법

RCD공법에서 암판정 방법은 상당히 애매(?)하다. 시편을 통한 시험의뢰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시추 지반조사를 통한 암편과 비교하여 선단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는 깊이까지 굴착되었는지 판단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대부분의 현장에서는 풍화토까지는 바이브로 해머를 이용하여 굴착한 후 그 이 이후부터 본격적으로 RCD장비를 이용하여 굴착을 실시한다.  RCD장비로 굴착을 실시하면 RCD라인으로 배출된 암을 뜰채로 채취하여 최초 지반조사를 통해 확보된 시편과 비교하여 암을 판정하게 된다.  RCD장비를 이용하여 채취된 시편는 암판정을 위한 시편(5cmX5cm)을 제작하기 어려우므로 외부 시험의뢰가 불가능하다.암판정은 토질변화 시점인 풍화암, 연암, 경암 구간별로 판단하면된다. 이 밖에 방법으로는 RCD장비 운전원..

건축 2024.06.11

기성콘크리트말뚝공법, SIP(Soil-cement Injected Precast Pile)공법의 특징, 시공방법, 시공시 유의사항

1.개요 1)SIP공법은 기성콘크리트말뚝 공법중 하나로 오거장비로 소요말뚝구경보다 직경이 5~10cm정도 크게하여 굴착하며 굴진시 오거비트를 통해 시멘트 페이스트와 벤토나이트를 배합한 용액을 주입하여 공벽을 보호하면서 설계 심도까지 굴착 2)지지층 부근에서는 부배합의 시멘트 페이스트를 주입하여 원지반토와 충분히 교반함으로써 확장된 선단 지지층으로 사용할 수 있게함 2.시험천공 및 항타 설계도서 및 시방기준에 적합한 품질 확보 및 시공품질 확보를 위한 데이터를 수집하여 본 항타 관리기준 설정에 목적이 있음 1)시험천공위치 - 기존 토질 조사 자료 및 지형을 감안하여 구조물의 파일 위치에 감독자의 승인을 득한 위치에 시험천공 - 지질주상도상 지형이 급격이 변하는 위치나, 구조물의 기초가 변하는 위치에 시험천..

건축 2022.11.0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