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C(Precast Concrete)부재의 균열 및 파손에 대한 보수방법

건축

PC(Precast Concrete)부재의 균열 및 파손에 대한 보수방법

소소심심 2024. 7. 8. 22:32
반응형

PC부재의 균열 및 파손에 대한 보수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일반조건(ALL PC 부재 : PC 벽식 아파트)

① 부재의 균열 및 파손 검사는 모든 부재에 대하여 시행한다.

② 균열 및 파손된 부재를 보수하여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각각의 부재에 대하여 보수시방대로 보수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는 보수재료 및 방법, 보수부위, 보수진행상태에 대한 사진 등의 자료를 감독자에게 제출, 승인을 받는다.

 

2. 균열 및 파손 등급

① 부재 균열은 균열의 폭, 깊이, 길이 및 부재의 용도 부위에 따라 아래와 같은 등급으로 구분한다.

31321

 

② 부재 파손은 파손의 정도, 위치 및 부재의 용도 부위에 따라 아래와 같은 등급으로 구분한다.

333

 

3. 균열 및 파손 등급별 보수기준

① 균열등급별 보수기준은 아래와 같다.

232323

 

② 파손등급별의 보수기준은 아래와 같다. 파손에 의하여 앵커부가 노출된 것은 당연히 사용할 수 없다.

5234432

 

③ 균열 부재에 대한 균열등급별 보수 시방은 아래와 같다.

▶균열보수 시방 A : 균열폭이 0.6㎜를 초과하는 경우

- 균열이 뒷면까지 관통되지 않았을 때는 균열폭의 5∼10배를 1변으로 하는 이등변 3각형의 V자형으로 파낸다.

- 6∼7㎜의 파이프를 200∼450㎜간격으로 20㎜ 정도의 깊이로 삽입하여 고정하고, 그 가운데를 점도가 높은 에폭시 수지 또는 이와 동등 이상의 성능이 있다고 인정되는 수지 모르타르로 충전한다.

- 에폭시 수지를 충전한 표면에는 모래를 뿌린다.

- 24시간 경과 후 파이프를 통하여 컴프레서로 내부의 미분을 청소하고 가솔린, 시너(thinner) 등을 분무하여 접착제 침투를 좋게 한다.

- 그리스 펌프를 이용하여 점도가 낮은 에폭시를 주입한다.

- 주입은 제일 밑의 구멍으로부터 위의 순서로 주입하고 옆 구멍으로 흘러나올 때까지 계속한다. 다음 구멍으로 이동할 때는 파이프의 구멍은 밀폐한다.

- 수일이 지나 완전히 경화한 후 파이프를 절단한다.

- 균열이 관통되어 있을 때는 뒷면도 V자형으로 파내고, 직경 3㎜의 공기공을 200㎜간격으로 설치하고, 그 공간을 에폭시 수지 또는 이와 동등 이상의 성능이 있다고 인정되는 수지 모르타르로 충전한다.

 

▶ 균열보수 시방 B : 균열폭이 0.6㎜ 이하인 경우

- 균열을 V형으로 깎고 점도가 높은 에폭시 수지를 손가락으로 눌러 놓고 마감면보다 얇게 해둔다.

- 수지가 경화되기 직전에 마감 모르타르를 충전하여 마감한다.

- 계속하여 작업하기 곤란할 때는 충진한 에폭시 표면에 모래(직경 2.5㎜ 이하) 뿌려두기 마감을 한다.

- 균열이 양면을 관통하고 있을 때는 이같은 작업을 양면에서 시행한다.

 

▶ 균열보수 시방 C

- 균열의 부분은 V자형으로 깎아 깨끗이 청소하고 에멀션을 도포하고 모르타르를 충전한다.

- 밑채우기 모르타르의 반경화시에 표면색깔 조정용 화장 페이스트를 발라 마감한다.

 

④ 파손 부재에 대한 파손등급별 보수시방은 아래와 같다.

▶ 파손보수 시방 A

- 에폭시 수지의 주제와 경화제를 혼합하고 규사를 혼합하여 파손부분을 충전한다.

- 에폭시 충전은 마감면보다 약간 낮추고 반경화시에는 화장페이스트를 발라 마감한다.

 

▶ 파손보수 시방 B

- 파손부분을 청소하고 에폭시 수지를 바른다.

- 접착제를 혼합한 모르타르를 채운다. 24시간 방치하고 접착제를 바르고 화장 페이스트를 발라 마감한다.

 

▶ 파손보수 시방 C

- 파손부분을 청소하고 접착제를 칠한 뒤에 모르타르 충전한다.

- 경화된 후 위에 접합제를 다시 위에 화장페이스트를 발라 마감한다. 다만, 파손이 경미한 때는 파손부분을 잘 청소한 다음 접착제를 바르고 화장 페이스트를 직접 도포 마감하여 보수할 수 있다.

 

4. 현장 타설에 의해 일체화되는 합성 PC구조물의 경우 균열 및 파손 기준은 아래와 같다.

23232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