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수공사 개념 및 하자 사례, 하자예방 시공방안

건축

방수공사 개념 및 하자 사례, 하자예방 시공방안

소소심심 2022. 10. 17. 18:40
반응형

1.방수공사의 개요

■방수의 개념

1)방수는 연속적인 막(Membrane)을 재료를 이용하여 물의 이동을 방지하는 것

2)방수의 기본은 물이 고이지 않게 하는 것

  - 구체 구배형성

  - 방수 sheet층 보호(보호몰탈, 보호재, 벽돌)

  - 구체의 수밀성 확보(밀실하게 충진)

■방수 시공시 현장 관리방안

1)우수드레인 위치검토(구체구배계획)

2)공사 전 방수층 보호검토

3)구체 콘크리트 타설시 다짐기를 이용하여 수밀성 확보

4)합벽부 방수보강(이어치기지수판, 지수재 사용 및 유도줄눈 계획)

방수이미지-1
[방수 개념도]

 

2.방수 하자현황

방수하자현황

-시설물 준공 후 1년 이내 61%, 3년 이내 전체발생량의 89%가 발생함

-이는 방수자재의 내구성 문제보다는 부적절한 설계 및 시공상의 하자가 주요 원인이라 할 수 있음

 

현장 관리방안

1)방수부위 100% 담수시험

2)공정간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관리

3)동절기 기간을 최대한 피해서 작업

4)철저한 도면검토

 

방수이미지-2
[출처-한국건축시공학호지 42 호 , 방수공사의 종류와 시공기술의 이해 : 방수대상 부위별 문제점]

 

방수이미지-3
[출처-한국건축시공학호지 42 호 , 방수공사의 종류와 시공기술의 이해 : 시설물 준공 후 누수 발생율]

3.방수 하자사례

지붕방수

  - 건축물의 거동 및 진동의 영향은 물론 외기 온도의 변화에 따라 바탕체의 수축 팽창 응력이 함께 작용하게 되므로 방수층의 포로저항 또는 내균열 저항성능에 관한 지침 필요

 - 풍압조건에 따른 방수층의 안전성 확보를 위해 내풍압 조건 강화가 필요

방수이미지-4
[출처-한국건축시공학호지 42 호 , 방수공사의 종류와 시공기술의 이해 : 지붕방수 하자사례]

■외벽방수

  - 일반적으로 합벽구간의 내부방수를 적용하는 경우가 많으며, 진동, 거동으로 구조체 균열 발생은 물론 깊은 심도로 인한 수압작용으로 지하수가 유입되는 누수가 발생

  - 현행 일반적인 합벽구간의 배부 방수는 시멘트 액체방수 또는 규산질계 분말형 도포방수(침투성방수)공법등이 채택되어 적용되는데 이는 진동 및 거동으로 방수층 동시파단이 발생되어 안전성을 확보하기 어려움

- 따라서 높은 수압작용에서 누수 안전성을 확보하고, 방수층 동시 파단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재료 및 공법 등의 시공 관리 지침이 필요

방수이미지-5
[출처-한국건축시공학호지 42 호 , 방수공사의 종류와 시공기술의 이해 : 지하방수 하자사례]

실내방수

  - 건축물 시내 방수는 일반적으로 건식벽체에 방수시공이 이루어지는 사례가 많음

  - 상부로 갈수록 건축물의 좌우 진동은 물론 건식벽체의 진동으로 접합부에서 방수층이 파단되는 사례가 발생

  - 물의 사용량이 많은 욕실, 화장실, 주방 등 건식벽체의 접합부 및 관툥 파이프 주변등의 방수층 파단현상을 방지하고 내수성(방수성)을 확보할 수 있는 시공지침이 필요

방수이미지-6
[출처-한국건축시공학호지 42 호 , 방수공사의 종류와 시공기술의 이해 : 실내방수 하자사례]

■녹화공간 및 인공지반

  - 녹화조성의 인공 지반층은 뿌리의 영향에 의해 방수층이 손상되며, 구조체에 미치는 안전상의 영향뿐만 아니라, 구조물 사용에 있어서도 많은 불편을 초래함

  - 따라서 녹화시스템의 구성층으로은 여러종류의 물로부터 구조물을 보호하는 방수층과 뿌리로부터 방수층을 보호하는 방근층으로 동시에 구성되어야 함

방수이미지-7
[출처-한국건축시공학호지 42 호 , 방수공사의 종류와 시공기술의 이해 : 조경방수 하자사례]

4.하자예방 시공방안

방수이미지-8
방수이미지-9
방수이미지-10
방수이미지-1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