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방수공사의 개요
■방수의 개념
1)방수는 연속적인 막(Membrane)을 재료를 이용하여 물의 이동을 방지하는 것
2)방수의 기본은 물이 고이지 않게 하는 것
- 구체 구배형성
- 방수 sheet층 보호(보호몰탈, 보호재, 벽돌)
- 구체의 수밀성 확보(밀실하게 충진)
■방수 시공시 현장 관리방안
1)우수드레인 위치검토(구체구배계획)
2)공사 전 방수층 보호검토
3)구체 콘크리트 타설시 다짐기를 이용하여 수밀성 확보
4)합벽부 방수보강(이어치기 시 지수판, 지수재 사용 및 유도줄눈 계획)
2.방수 하자현황
■방수하자현황
-시설물 준공 후 1년 이내 61%, 3년 이내 전체발생량의 89%가 발생함
-이는 방수자재의 내구성 문제보다는 부적절한 설계 및 시공상의 하자가 주요 원인이라 할 수 있음
■현장 관리방안
1)방수부위 100% 담수시험
2)공정간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관리
3)동절기 기간을 최대한 피해서 작업
4)철저한 도면검토
3.방수 하자사례
■지붕방수
- 건축물의 거동 및 진동의 영향은 물론 외기 온도의 변화에 따라 바탕체의 수축 팽창 응력이 함께 작용하게 되므로 방수층의 포로저항 또는 내균열 저항성능에 관한 지침 필요
- 풍압조건에 따른 방수층의 안전성 확보를 위해 내풍압 조건 강화가 필요
■외벽방수
- 일반적으로 합벽구간의 내부방수를 적용하는 경우가 많으며, 진동, 거동으로 구조체 균열 발생은 물론 깊은 심도로 인한 수압작용으로 지하수가 유입되는 누수가 발생
- 현행 일반적인 합벽구간의 배부 방수는 시멘트 액체방수 또는 규산질계 분말형 도포방수(침투성방수)공법등이 채택되어 적용되는데 이는 진동 및 거동으로 방수층 동시파단이 발생되어 안전성을 확보하기 어려움
- 따라서 높은 수압작용에서 누수 안전성을 확보하고, 방수층 동시 파단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재료 및 공법 등의 시공 관리 지침이 필요
■실내방수
- 건축물 시내 방수는 일반적으로 건식벽체에 방수시공이 이루어지는 사례가 많음
- 상부로 갈수록 건축물의 좌우 진동은 물론 건식벽체의 진동으로 접합부에서 방수층이 파단되는 사례가 발생
- 물의 사용량이 많은 욕실, 화장실, 주방 등 건식벽체의 접합부 및 관툥 파이프 주변등의 방수층 파단현상을 방지하고 내수성(방수성)을 확보할 수 있는 시공지침이 필요
■녹화공간 및 인공지반
- 녹화조성의 인공 지반층은 뿌리의 영향에 의해 방수층이 손상되며, 구조체에 미치는 안전상의 영향뿐만 아니라, 구조물 사용에 있어서도 많은 불편을 초래함
- 따라서 녹화시스템의 구성층으로은 여러종류의 물로부터 구조물을 보호하는 방수층과 뿌리로부터 방수층을 보호하는 방근층으로 동시에 구성되어야 함
4.하자예방 시공방안
'건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철근콘크리트공사 단계별 확인사항 (0) | 2022.10.21 |
---|---|
DRA공법(PHC Pile 선굴착공법) (0) | 2022.10.19 |
특별피난계단의 자동폐쇄장치 설치 규정 (1) | 2022.10.15 |
동절기 공사 열원별 물량산출표 (2) | 2022.10.15 |
현장타설 콘크리트말뚝 - RCD공법 (1) | 2022.10.15 |